
인공지능은 인지, 지각, 학습, 추론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도출 Cognitive Computing 기술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 언어의 이해 생성 및 분석을 다루는 인공지능 기술 - 한 단어가 복수의 의미를 가지거나 단어와 단어가 상호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처리가 어렵다 - 자연어를 이용한 대화, 기계번역, 감정 분석, 내용분석 등의 영역이 포함된다 Speech Recognition - 컴퓨터가 마이크와 같은 센서를 통해 얻은 음향적 신호(Acoustic Speech Signal)을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기술 - 그리고 문자를 소리로 바꾸어 전달하는 기술(Text to Speech)를 포함한다 Computer Visio..

인공지능의 태동기(1952~1956) -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 수학, 철학, 공학, 경제 등 다양한 영역의 과학자 들에게서 인공적인 두뇌의 가능성이 논의됨 - 1950년 Alan Turing은 Computing Machinery Intelligence 논문에서 생각하는 기계의 구현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담긴 논문을 발표 Turing Test(Imitation Game) 제안 후대 과학자가 인공지능 대해 논의하고 연구하는 바탕이 됨 Alan Turing(1912 ~ 1952) • 영국의 수학자 • 2차 세계대전 독일군의 암호체계를 깨트려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 • 1950년 Imitation Game: 흉내내기 게임) 제안 • 1952년 자살 인공지능의 황금기(1956~..

빅데이터 응용 사례:한국관광공사 외국인 관광산업 지원 추진 배경 중국인 관광객 10년 전 대비 500% 증가, 외래 관광객중 가장 높은 비중 과 소비 규모, 관광 제도 개선으로 인한 자유여행객의 증가 예상 외국인 관광객 1000만시대, 중국인 관광객은 전체 관광객의 33%로 1위,1인당 경비 지 출이 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높음 중국 단체 여행객의 감소, 개별 여행객 수가 증가하고 있음 중국인 관광객의 획일화된 관광지 및 관광 패턴, 관광 일정으로 인해 재방문률의 정체와 재방문 의향이 낮은 상황 국내 입국 관광객의 모바일 인프라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국내 관광 정보의 제공을 통 한 관광 만족도를 높일 필요성 추진 목적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 패턴 및 소비 패턴 분석을 통해 중국..
1. 정의 단어를 그 문법적 성질에 따라 나눈 유(類. class) → 문법적 성질에 따라 나눈 어류(語類. word-class) 하나하나. 단어의 분류 (1) 음절수에 따라 1음절어 2음절어 3음절어 등 (2) 어종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등 (3) 형성 방법에 따라 단일어 합성어 복합어 파생어 (4) 문법적 성질에 따라 : 품사(아래 3 참조) 2. 품사 분류의 기준 (1) 형태(form) : 굴절 여부. [+굴절]→가변어, [-굴절]→불변어 (2) 기능(function) : 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다른 단어와 가지는 문법적 관계 양상. ※(3) 의미(meaning) : 최종적으로 고려할 수도 있음. 3. 국어의 품사 체계 명사 체언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불변어 수식언 부사 단어 관계언---조사 독립언-..
한자어(漢字語) 5.1. 한자어의 범위 (1) 대체적인 정의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이면서 한자로 표기될 수 있는 단어 (2) 종류 ① 붓[筆], 먹[墨], 상추[常菜], 배추[白菜] : 중국어 차용어이지만 한자어 범주에 들지 않음. ② 미륵(彌勒), 가사(袈裟), 불타(佛陀) : 한자로 표기되나 중국어는 아님. ③ 일본식 한자어 : 식량(食糧), 단계(段階) ④ 우리 나라에서 만든 한자어 : 답(沓), 시댁(媤宅), 사돈(査頓) 5.2 한자어의 차용어로서의 성격 : 한자어가 중국어(아니면 적어도 한문)에서의 성격을 얼마나 유지하고 있는지, 아니면 잃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여러 가지로 유익. (1) 단어 → 어근 : 수족(手足), 이목(耳目), 의복(衣服), 음식(飮食), 가옥(家屋), 수목(樹木) ..
1. 언어 단위(linguistic unit)와 문법 단위(grammatical unit) (1) 언어 단위 : 문장의 형성에 관여하는 모든 단위. 변별적 자질, 음소, 음절 ; 형태소, 단어 ; 구, (절,) 문장 등. (2) 문법 단위 : 좁은 의미의 문법, 즉 형태론과 통사론에 관여하는 언어 단위. 어떤 의미를 나타내 주는 언어 단위.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 등. 2. 형태소(morpheme)의 개념 ① 뜻을 갖는 언어의 최소 단위. 최소의 유의적 단위(minimal/smallest meaningful unit). ② 어휘항을 구성하는 분석 가능한 단위 및 분석 가능한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형식. → 뜻을 알기 어려운 유일 형태소(특이 형태소. unique morpheme) 등을 형태소..
○ 1920년대 과학적관리론이 인간을 기계와도 같이 취급한 현실에 비판, 인간적 측면 을 중시하여 제기된 이론 ○ 과학적 관리론과 같은 고전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신고전주의라 함 ○ 인간관계론은 호손 연구(the Hawthorne studies)에서부터 시작됨 ○ 호손 연구는 호손 공장에서 페녹, 메이요(mayo) 등이 1927년부터 1933년까 지 실시한 실험 ○ 내용: 과학적 관리론에서는 동기부여 방안으로 금전적 요인을 들었으나, 인간관계 론에서는 금전과 같은 물리적 요소보다는 동료와 상사간의 인간관계 (human relations)와 같은 인간적 요소가 생산성을 올리는데 더 중요하 다는 점이 밝혀짐. 고전적 이론에서는 기계와 같은 공식적 구조가 생산성을 더 올려준다고 했으 나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 구..
○ 과학적관리론이 개개 근로자의 생산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행정관리론 혹은 관리일반이론은 전체 조직에 초점을 두었음, 행정관리론은 능률적이고도 효과적인 조직구조를 만들어 내려는 연구: Administrative Management is the study of how to create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leads to high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 학자: 페이욜(Fayol) ○ Fayol은 관리자가 해야 할 14개 관리원칙들을 제시함
○ 주먹구구식(rule-of-thumb) 작업방식(work methods)을 지양하고 직무를 과학적 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지향 ○ 근로자들을 과학적(합리적)으로 선발(채용)하고, 훈련시키며, 능력을 개발하도록 함 ○ 근로자들이 협력하여 과학적으로 개발된 작업 방식에 따르도록 함 ○ 관리자들은 과학적 관리의 원칙을 적용하여 직무를 기획하고 근로자들은 직무를 수행하도록, 관리층이나 근로자들이나 동등하게 분업의 원리에 따라 직무를 나 눔. ⇒ 분업의 원칙을 적용하여 업무를 나눔, 관리층은 기획, 근로자는 집행 기능 수행, Taylor는 관리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기획(조직 전반 및 미래에 대한 기획)으로 보았음. ○ 생산성을 올린 근로자에 대해 임금 인상을 통한 인센티브 제공(차별성과급체계) ○ 각각의 직무..
정신병리(psychopathology) 정신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병적인 정신현상. 즉, 비정상적 행동, 사고, 의식, 지각 등을 말한다. WHO의 건강의 정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안녕상태(physical, emotional, social well being) 건강한 성인 뚜렷한 자기 정체성(identity)을 가지고 인생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추구해 가며, 현실을 수용하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할 줄 알아 대인관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사람, 또한 만족스러운 이성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자기 능력의 한계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며, 직업적응을 잘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의 실현을 통한 성취감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 정상의 개념 건강해야 정상 : 의학적 개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