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언어 단위(linguistic unit)와 문법 단위(grammatical unit)
(1) 언어 단위 : 문장의 형성에 관여하는 모든 단위. 변별적 자질, 음소, 음절 ; 형태소, 단어 ; 구, (절,) 문장 등.
(2) 문법 단위 : 좁은 의미의 문법, 즉 형태론과 통사론에 관여하는 언어 단위. 어떤 의미를 나타내 주는 언어 단위.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 등.
2. 형태소(morpheme)의 개념
① 뜻을 갖는 언어의 최소 단위. 최소의 유의적 단위(minimal/smallest meaningful unit).
② 어휘항을 구성하는 분석 가능한 단위 및 분석 가능한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형식.
→ 뜻을 알기 어려운 유일 형태소(특이 형태소. unique morpheme) 등을 형태소로 인정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소의 개념. <보기> 아름-답-다 : ‘-답-’과 ‘-다’는 분석 가능한 단위이고 ‘아름-’은 분석 가능한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형식임.
<참고> 유일 형태소 / 특이 형태소(unique morpheme) : ‘아름-(답다), 착-(하다), 감쪽-(같이), 안간-(힘), (허둥)-지둥, (낚)-시’ 등; cranberry, boysenberry, huckleberry 등, 이른바 berry류 단어에 있는 cran-, boysen-, huckle- 등.
3. 형태소의 분류
(1) 자립성 여부에 따라
① 자립 형태소(free morpheme)
② 의존 형태소(bound morpheme)
(2) 의미의 허실에 따라
① 어휘 형태소(lexical morpheme) / 실질 형태소(full morpheme)
② 문법 형태소(grammatical morpheme) / 형식 형태소(empty morpheme)
4. 형태소의 확인 방법
허 웅 Saussure Frei Halliday
↓ ↓ ↓ ↓
① 가로 관계(통합 관계, 선조상의 관계, 연쇄 관계, 사슬 관계)
② 세로 관계(연합 관계, 기억상의 관계, 계열 관계, 선택 관계)
5. 변이형태(allomorph)
: 한 형태소가 그 주위 환경에 따라 음상(phonemic shape)을 달리하는 현상을 교체
(alternation), 또는 변이(variation)라 하고, 그러한 교체에 의해 달라진 모습 하나하나를 그 형태소의 변이형태(또는 이형태)라 한다.
<참고 1> 변이형태 충족의 2대 요건
첫째, 의미(기능)가 같아야 한다.
둘째,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어야 한다.
<참고 2> 분포(distribution)의 종류
① 상보적 분포(또는 배타적 분포. complementary distribution)
X
Y
② 동시적 분포(coincident distribution)
X
Y
③ 포괄적 분포(incorporating distribution)
X ,
Y ,
④ 중복적 분포(overlapping distribution)
X
Y
<참고 3> 변이형태와 변이음(또는 이음)과의 관계 : 변이음(allophone)이 되기 위한 요건
첫째, 소리가 비슷해야 한다(같은 계통의 소리이어야 한다).
둘째,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어야 한다.
<보기> 국어의 음소 /ㄱ/은 [k](어두), [g](어중), [k ̚](어말)라는 세 변이음을 갖는다.
• 가곡[kagok ̚]
6. 교체의 종류
(1) 교체 조건의 층위가 어딘가에 따라
① 음운적으로 조건된(phonemically conditioned, phonologically conditioned) 교체
<보기> /값~갑~감/, /듣-~들-~든-/, /이~가/
② 형태적으로 조건된(morphemically conditioned, morphologically conditioned) 교체
<보기> /-었-~-았-∞-였-/
③ 문법적으로 조건된(grammatically conditioned) 교체
<보기> 에/에게(유정성 여부)
(2) 교체의 필연성 여부에 따라
① 자동적(automatic) 교체 : 만일 그러한 교체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 언어의 음운 패턴이 깨어지는 결과가 초래되는 교체. <보기> /값~갑~감/
② 비자동적(nonautomatic) 교체 : 만일 그러한 교체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그 언어의 음운 패턴이 깨어지는 결과가 초래되지 않는 교체.
<보기> /이~가/ <보기> 윷놀이에서 모가 나왔다. / *모이 (나왔다) cf. 닭모이
<참고> ① 음운적으로 조건된 교체는 자동적 교체인 것도 있고, 비자동적 교체인 것도 있지만, 모든 자동적 교체는 음운적으로 조건된 교체임.
② 형태적으로 조건된 교체와 문법적으로 조건된 교체는 당연히 비자동적 교체임.
(3) 교체의 규칙성 여부에 따라
① 규칙적 교체 : 어떤 환경에서 예외 없이 일어나는 교체. 모든 자동적 교체가 여기에 들고, 비자동적 교체 가운데서도 불규칙 교체를 제외한 교체는 모두 규칙적 교체에 속한다. <보기> /값~갑~감/, /이~가/
② 불규칙적 교체 : 같은 환경인데도 어떨 때는 그것이 일어나기도 하고, 어떨 때는 그것이 일어나지 않기도 하는 교체. <보기> 묻-(埋)~묻-(埋), 묻-(問)~물-(問)
보기 교체의 분류 |
값~갑~감 | 이~가 | 묻-~물-(問) |
층위 | 음운적 | 음운적 | 음운적 |
필연성 | 자동적 | 비자동적 | 비자동적 |
규칙성 | 규칙적 | 규칙적 | 불규칙적 |
7. 기본형(대표형. basic allomorph, basic form)
: 한 형태소의 여러 변이형태 가운데 대표로 정해진 형태
→ 현대 국어 맞춤법은 이 기본형으로써 표기하게 하는, 형태음소적 표기법을 택하고 있다.
<예외> • 두음법칙 : ‘남녀 대 여자, 근로 대 노동’ 등
• 불규칙 활용 용언 : ‘듣는다 대 들어서, 긋고 대 그어서’ 등
• 문법 요소 : ‘이/가, 을/를, 은/는, 과/와’ 등
• 비생산적인 접사 : ‘주검←죽엄, 무덤←묻엄’ 등
<참고> 기본형 설정의 기준
① 보편성(자연스러움) 획득
② 통계적 수치 활용
③ 그 밖 : 역사적 사실 고려 등
④ 임의대로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品詞, parts of speech) (0) | 2022.08.23 |
---|---|
한자어(漢字語) (0) | 2022.08.23 |
인간관계론 (0) | 2022.08.22 |
행정관리학 (Administrative Management) (0) | 2022.08.22 |
과학적 관리론의 원리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