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고의 내용(contents of thougth)
망상(delusion)
현실에 맞지 않은 잘못된 믿음
실제 상황과 다르며, 논리적인 설명으로 시정되지 않고, 교육 정도나 문화적인 환경에 걸 맞지 않는 잘못된 믿음 또는 생각
정신분열병: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
양극성 조증: 과대망상(grandiose delusion)
우울증: 빈곤망상(delusion of poverty), 죄책망상(delusion of sin or guilt), 허무망상(nihilistic delusion)
체계화된 망상(systematized delusion): 망상내용이 잘 조직화되어 기본 전제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그 나름대로 논리와 연결성을 갖추고 있을 때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
누군가가 자신이나 가족을 해치려고 하거나 감시하고 있다고 믿는 것
자신이 가지고 잇는 적개심이나 결함 등을 상대방에게 투사하여 오히려 남이 자신을 해칠 것이라고 믿게 되는 것
정신분열병에서 흔함
과대망상(grandiose delusion)
자신의 힘이나 능력, 또는 중요성을 실제보다 과장하여 생각하는 망상
신의 계시로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고 하거나, 미래를 예지하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것
대체로 사고내용에 부합되는 정서를 같이 보인다.
양극성 장애의 조증
자신의 능력을 방해하는 자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피해망상이 수반되는 수도 있다.
관계망상(delusion of reference)
실제로 자신과는 관계가 없는 일상생활에서의 상황을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고 잘못 믿는 것
행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면 관계사고(idea of reference)라고 한다.
자신에 대한 비난, 간섭, 교묘한 압력 등 주로 피해망상의 양상을 띠고 있다.
신문이나 TV에서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를 은연중 암시하고 있다거나 남들의 대화를 자신에 관한 것이라고 믿는 것 등
색정망상(erotic delusion)
모든 이성들이 자기를 사랑하고 있다고 굳게 믿고 있든지, 어던 여인이 자기를 너무 사랑하고 있는데 누군가가 방해를 해서 행동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망상장애나 망상형 정신분열병
기타 망상
반곤망상(delusion of poverty)
너무 가난하여 굶어 죽게 됐다고 생각하는 것
죄책망상(delusion of sin)
이 세상에서 살 가치가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
허무망상(nihilistic delusion)
신체망상(somatic delusion)
조정망상(delusion of being controlled)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
사고주입(thought insertion)
사고유출(thought leakage)
집착 (preoccupation)
어떤 특정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
강박사고 (obsession)
그 내용이 비합리적이고 부적절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특정한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올라 고통 받는 경우
강박행동(compusion)
강박사고와 함께 영향받는 행동이 나타나는 것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실제적으로 신체에 미치는 어떤 질병이 없고 이상이 없다는 의사의 상세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관심이 집중되어 병이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공포증(phobia)
어떤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 불안을 동반한 비현실적이고 병적인 두려움을 느끼는 것
정상적인 사람들은 공포를 느끼지 않는 상황에서 비현실적인 불안을 느끼는 경우를 특정 공포증이라 한다.
암공포증(cancer phobia), 적면공포증(erythrophobia), 오물공포증(coprophobia), 고소공포증(acrophobia), 폐소공포증(claustrophobia), 광장공포증(agoraphobia), 대인공포증(anthrophobia), 불결공포증(mysophobia), 질병공포증(nosophobia),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이인증(depersonalization)
평소에 자주 보던 상황이나 물건, 자기 신체 등이 갑자기 아주 생소하게 느껴지는 상태
이인증(depersonalization):
자신의 몸이 자신의 것이 아닌 것같이 생각되는 것
비현실감(derealization):
지금의 현실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
우울증, 건강염려증, 해리장애, 초기 정신분열병,
정상인에서는 심한 피로나 충격 후에 온다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론 (0) | 2022.08.22 |
---|---|
행정관리학 (Administrative Management) (0) | 2022.08.22 |
과학적 관리론의 원리 (0) | 2022.08.22 |
정신병리(psychopathology) (0) | 2022.08.21 |
정신과 - 의식(consciousness)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