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바나드 혁명
•Barnard(1886~1961) : 합리적 경영과 인간적 경영을 연결 ⇒ ‘근대조직론’의 아버지
Barnard의 경영자의 역할(1938)
[집필동기]
•조직개념에 대한 기존의 혼란과 불명확성을 해소
•조직 구성원이 공식조직에 의해 합목적적이고 바람직한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조직사회적 메커니즘의 규명
•조직은 복잡한 시스템 속에서 그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는 개방시스템 : 내부요소(구성원)와도 주고받는 것이 균등해야 하며, 외부환경(소비자, 주주)과도 부단히 균형적인 거래를 유지
•공식적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 공식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해소’를 위해 단위조직의 규모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정해야 함
•효과적인 공식적 조직이 되는 데 필요한 요건 : 전문화, 인센티브, 권한(권한수용설), 의사결정
•조직은 구성원 간의 협력을 기초로 형성
사이먼의 바늘이론
•Simon(1916~2001 ) : 제한된 합리성 이론을 ‘개인’이 아닌 ‘조직’에 적용. 1978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경영자는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내에서 의사결정. 절대적 합리성을 추구한다고 가정한 ‘과학적 관리법’을 비판
•제한된 합리성이 발생하는 원인 : 정보 부족, 인지능력의 한계, 시간적 제약
•바늘이론 : 여러 한계 속에서 경험과 분석력을 기초로 상황 판단하여 의사결정. ‘최적수준’보다는 ‘만족수준’을 추구 ⇒ 만족하다 + 충분하다 : 그 정도면 됐다(good enough)
•예 : 노트북의 구입,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경영자의 역할 : 제약조건을 점차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것
계량경영학과 의사결정론
•계량경영학 : 수요예측, 재고관리, 생산량 조정, 작업일정의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변수를 계량화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하는 것 ⇒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 수리적 모형 개발을 촉진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캣 설치 / Tomcat 설치 (0) | 2023.01.10 |
---|---|
스프링이란? (0) | 2023.01.09 |
Spring MVC Web 개발 모델 (0) | 2023.01.08 |
안드로이드 스타일 적용 (style) (0) | 2023.01.07 |
MFC 채팅 프로그램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