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통경로 구성원의 기능
전방흐름 기능 (foward flow)
소유 (ownership)
제조업체, 도매상, 소매상 등 상품 ( )의 이전을 통해 수익을 창출
소비자 : 상품의 ( )를 통해 효용(utility) 향유
유통구성원이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
물리적 보유 (physical possession)
예) 축산물의 유통
소유권의 이전 : 축산농가 ⇒ 축협(산지조합 및 축협직판장) ⇒ 소비자
물리적인 보유 : 축산농가 → 산지조합 → 도축장 → 1차육가공업체→축협직판장→소비자
촉진 (promotion)
( )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의미
push 전략 : 제조업체 vs 도매상, 도매상 vs 소매상, 소매상 vs 소비자
Pull 전략 : 제조업체는 자사의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주체가 아닌 소매상이나 소비자를 대
상으로 촉진활동을 전개
쌍방향 흐름 기능
협상(negotiation)
제조업체, 중간상 : 상품의 유형, 수량, 가격, 배송시기, 배송방법, 대금지불 조건, 재고부담
등 협상
소비자 : 소매상을 대상으로 가격, 판촉물, 지원금, 지불방법 등 협상
금융(financing)
경로구성원간 외상거래, 할부판매, 자금지원 등의 형태로 금융거래
예) 주류도매상이 영세 식당을 대상으로 외상 판매하거나, 도매상이라고 할 수 있는 농산물
산지수집상이 물건값을 미리 지불하는 것
위험부담(risking)
물리적인 위험 : 상품의 변질, 파손 등
경제적 위험 : 수요의 감소, 정체로 인한 재고의 증가, 거래업체의 도산 등
큰 소매 유통업체(대형마트, 백화점 등)는 팔리지 않는 재고에 대한 부담을 공급업체에게 제
공
예) 의류제조업체들은 팔리지 않는 상품을 상설할인매장을 통해 처리
후방향 흐름 기능 (backward)
주문(oradering)
소비자 → 소매상 → 도매상 → 제조업체 → 공급업체
대금지급(payment)
소유권 이전에 대한 반대 급부
시장정보(market information)
시장에 대한 정보는 곧 ( )에 대한 정보
소비자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주체는 소비자와 접점을 이루고 있는 소매
상
소매상은 도매상 및 제조업체에게 시장동향, 소비자 트렌드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의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관련 정보의 축적, 정보의 전송 등이 용이해짐
소매상의 정보제공능력이 크게 향상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수도 기본설계(계획) (0) | 2022.09.13 |
---|---|
파생상품, 옵션이란?(콜옵션, 풋옵션) (0) | 2022.09.13 |
유통경로의 기본구조 (0) | 2022.09.12 |
유통경로의 개념 (0) | 2022.09.12 |
호르몬의 분비 조절 (0) | 2022.09.09 |